KBS(Korean Broadcasting System)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국내 최초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고, 1961년 TV 방송을 시작으로 1973년 한국방송공사로 공영방송 체계를 갖춰 국내는 물론 전세계 곳곳으로 방송하고 있습니다. KBS는 현재 2개의 지상파 TV 방송 채널, 2개의 위성 TV 방송 채널, 6개의 라디오방송 채널, 6개의 케이블방송 채널, 4개의 지상파 DMB 방송 채널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고, my K, Kong 등 뉴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6년 기준 1.5조의 총 수익을 기록했고, 직원 수는 약 4,600명 규모입니다.
지난 몇 년간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와 이동성이 보장된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의 증가로 TV 시청자들의 미디어 소비 패턴이 급변하였습니다. 기존 TV 중심에서 인터넷/모바일로, 실시간 방송 중심에서 VOD(다시 보기 서비스)로 미디어를 소비하는 패턴이 바뀌었고, 이에 따라 미디어 회사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광고 시장도 함께 바뀌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했습니다.
KBS는 2016년 발생한 경주 지진, 올림픽, 월드컵, 크게 히트를 쳤던 드라마 ‘태양의 후예’등 시청자의 관심을 많이 받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트래픽을 경험했습니다. 예를 들어, KBS 드라마인 태양의 후예는 방영 시간대에 평소 대비 4~5배의 과도한 트래픽이 몰리기도 했습니다. 매번 관리 가능한 트래픽 범위 내에서 IT 자원을 확보하고 운영하였으나, 그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했습니다. 미디어 소비 패턴의 변화와 트래픽 급증에 능동적인 대응이 필수였지만, 기존의 코로케이션 인프라에서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KBS는 미디어 시장 변화와 트래픽 급증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클라우드를 검토했습니다. 언제든지 필요한 만큼의 IT 자원을 가져다 쓸 수 있고, 쓰는 만큼의 비용만 지불하면 되는 부분을 클라우드의 장점으로 평가했습니다. 국내 업체뿐만 아니라 글로벌 클라우드 벤더를 검토하면서 가장 중점적으로 보았던 요소는 제공하는 서비스의 안정성, 다양성, 확장성이었습니다. KBS에서는 클라우드 도입을 함께할 클라우드 업체로 AWS를 선택하였고, KBS 디지털미디어국 선영진부장은 “AWS의 다양한 레퍼런스, 축적된 경험과 많은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점”을 높게 샀다고 밝혔습니다. 다시 말해, AWS는 풍부한 미디어 서비스 경험과 다양한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Netflix, BBC, Amazon Video, PooQ 등 다양한 미디어 업체들이 이미 AWS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KBS는 2017년부터 디지털서비스를 클라우드로 이전할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AWS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지원해줄 수 있는 점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또한 AWS는 신속한 마이그레이션과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디지털 트렌드 변화를 반영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기 때문에 KBS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AWS Media Services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서비스, 머신 러닝,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을 시도해볼 수 있었습니다.
KBS는 실질적인 검토 및 테스트를 진행한 후 2017년 하반기부터 마이그레이션을 시작하여 2018년 8월에 코로케이션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던 약 300 대의 서버를 모두 AWS 클라우드로 이관하였고, 기존의 데이터센터는 폐쇄했습니다. KBS 대고객 서비스인 메인 홈페이지를 비롯해 MyK, Kong, 통합 CMS, KBS뉴스 웹/모바일, 시청자게시판, 회원시스템, 지역국 서비스 등 전체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의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전체를 이전 완료하였습니다. 기존에는 물리적인 장비로 운영했던 서비스들을AWS에서 제공하는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RDS),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S3), Amazon Elasticsearch, Amazon ElastiCache, Amazon Redshift, Amazon Kinesis, Amazon CloudFront, 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하여 원활하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AWS Elemental MediaLive와 AWS Elemental MediaConvert 같은 AWS 미디어 서비스를 적용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KBS에서 사용 중인 AWS 서비스를 아래 다이어그램으로 도식화했습니다.
2018년 8월에 이전을 완료한 후, KBS의 서비스가 AWS 상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할 첫 시험대가 2018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이었습니다. KBS는 한국의 주요 경기가 있는 날에는 서비스 자원을 확장해서 급증하는 트래픽에도 유연하게 대응했고, 별다른 이슈 없이 안정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었습니다. KBS 디지털미디어국 선영진부장은 “기존 인프라 환경에서는 아시안게임과 같은 큰 이벤트를 위해 장비를 단기간으로 임대해서 서비스했지만, AWS 클라우드에서는 클릭 몇 번으로 간단하게 이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원을 사용한 시간만큼만 과금하기 때문에 이벤트성 서비스에 대해 기존 대비 약 50% 이상의 비용 절감이 가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KBS가 보유한 전체 디지털 서비스를 이전 완료하면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KBS에서는 더 많은 부분에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서비스별로 분리되어 있는 CMS 시스템 및 메타데이타를 통합해서 미디어 프로세싱을 포함한 미디어 유통 전체 프로세스를 담당하게 될 차세대 서비스인 ‘미디어 팩토리’가 그 첫 번째입니다. 그리고 KBS가 가지고 있는 방대한 규모의 아카이브 시스템에 AWS의 AI 서비스를 접목해 KBS가 보유한 미디어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고, 더욱 새롭고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KBS 디지털미디어국 선영진부장은 “미디어 팩토리 구축에는 AWS Elemental MediaLive, AWS Elemental MediaConvert 와 같은 AWS 미디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Amazon Polly, Amazon Rekognition, Amazon Transcribe, Amazon Translate와 같은 AI 서비스를 활용할 예정입니다. 또한 CDN서비스 및 헤드엔드 서비스도 클라우드로 이전할 계획이고, CloudFront, AWS Elemental MediaLive, AWS Elemental MediaConvert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https://aws.amazon.com/ko/media/deployment/ 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